부트캠프 <항해99> 일지/TIL & DIARY

<3주차 정리 WIL> 리액트 입문주차 종료, 숙련 주차 시작!

티레이니 2022. 5. 29. 03:29

지난주에 초급 강의 1~5주차까지 다 들어야 하는 줄 알고 뻘고생했는데

심지어 항해톡 준비 불태워서 진짜 눌려 죽을 뻔...

알고보니 3주차 절반부터 5주차까지는 이번 주에 들어야하는 내용...

허무해 ㅠ

 

이번 주는 좀 여유롭게 채우고 싶었던 기초 지식 채우면서

배운 내용들 잊지 않게 복습하면서 다져놓자...!

 

쓸데없는 이야기지만 WIL 필수 키워드 공지 좀 토요일 저녁엔 해줬음 좋겠다.

내가 아침부터 나가고 싶어지면 어떡하려고! 안나갈거지만! (...)

 

 

이번 주에 한 일

📖 배운 것들

  • Event Listener 사용해보기
  • 라우팅이란?
  • 리액트에서 라우팅 처리, 페이지 전환(history, link)
  • 리덕스란?
  • 리덕스와 컴포넌트 연결하고 사용하기
  • 프로세스, 스레드
  • 멀티프로세스 vs 멀티 스레드
  • 프로세스 생애주기
  • 컨텍스트 스위칭
  • 프로세스 스케쥴링 : 비선점과 선점
  • Keyframes, Transition 효과 주기
  • 화면 스크롤 버튼, 스크롤바 만들기

  • 서버리스 서비스 알아보기
    서버리스 서비스란? 정말로 서버가 없다는 뜻이 아님!
    서버서양, 네트워크 설정 등 미리 인프라 작업이 다 되어 있는
    서버를 빌려쓰는 것이다. 데이터도 사용하기 좋게 가공해 넘겨준다.
    백엔드에서 해야하는 서버 작업들을 대신해주기 때문에 서버리스라고 한다.
    수업에서 사용한 파이어베이스도 또한 서버리스 서비스의 일종이다.
    Baas 라고 해서 Backend as a service 이다.

  • 파이어베이스 셋팅, 파이어 스토어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& 추가/삭제 & 수정하기
  • 키보드로 입력한 키 받는 방법
  • 동기/비동기
  • 리덕스와 파이어베이스 연동, CRUD 해보기
  • 로딩 스피너 만들기
  • AWS S3 버킷으로 배포하기
  • 파이어베이스로 배포하기
  • DOM 요소 접근하기

    DOM이란? 
    웹 문서의 각 요소를 객체로 생각하는 모델이다. <div>,  <p> 등 그동안 봐 왔던
    모든 HTML 태그들이 객체로서 웹 문서를 구성하고 있다. tree 구조로 되어있는데,
    window - document 부터 해서 아래로 쭉쭉 뻗어나가는 트리 구조로 되어있는데,
   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속해있을 때, 부모-자식 관계가 된다고 하고,
    같은 부모를 가진 요소가 여러 개 일때(한 요소에 속한 요소들이 여러개일때,)
    같은 부모를 가진 요소들을 형제 요소라고 한다. DOM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을
    노드라고도 부른다. 노드에는 요소 노드, 텍스트 노드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.

  • 요소노드 (요소 노드의 프로퍼티, 요소노드 만들고 꾸미고 추가하고 삭제하고 이동하기..!)
  • DOM요소에 addEventListener로 이벤트 핸들러 달아주기
  • 이벤트 객체 알아보기, 자주 사용되는 이벤트객체의 속성들 알아보기
  • 이벤트 버블링 & 이벤트 캡처링
  • 이벤트 위임 (Event Delegation)
  • CSS의 단위 (px / rem / em / % 비교해보기)
  • CSS : overflow 개념 & 속성값
  • CSS : relative / fixed / absolute 포지셔닝
  • 즉시실행함수(IIFE)
  • 파라미터 vs 아규먼트 차이 
  • arguments 객체, Rest parameter
  • 일반 함수와 화살표 함수에서의 this 사용법프로퍼티 표기법 : 줄여서 표현하기!
  • 옵셔널 체이닝
  • 배열과 객체의 구조분해
  • 에러, 에러객체, 에러객체 만들기
  • try catch문, finally
  • 배열 메소드 : some과 every, find, set
    + 원래 알던 배열 메소드 다시 연습! (map, forEach, sort, reverse)

 

이번주도 100시간~~ 항해 시작할때 일주일 100시간 목표 라길래

그걸 대체 어떻게 채우나 했는데 의외로 매주 채워지고 있다(...)